분류 전체보기

도메인 / 비즈니스 도메인 지식 / 도메인 로직 / 비즈니스 로직..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도메인, 비즈니스라는 말은, '소프트웨어가 풀고자하는 현실 세상의 문제'를 가리킨다. 다시 말해 소프트웨어가 존재하는 이유, 목적이다. 은행 금융 및 은행 업무가 도메인이다. 은행 앱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금융 업무를 스마트폰에서 처리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니까. 틱톡 같은 SNS라면 동영상 촬영, 감상, 댓글 및 공유일 것이다. 지금부턴 도메인 ? 도메인주소요 ? 😵‍💫😵‍💫😵‍💫😵‍💫 ㄴㄴ
나는 학습을 어떻게 해야 할까 또는 어떻게 하고 있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되어 이 글을 적게 되었다. 1 - 정의 혹은 검색 내가 이미 알고 있지만 더 깊게 알고싶은 개념이나 이게 맞나?(부분기억삭제ㅋ)라는 의구심을 생길때 개념에 대한 설명 혹은 정의를 그대로 적는다. 새롭게 공부해보고 싶은 개념은 책이나 공신력 있는 문서들을 참고 하여 간결한 문장으로 만든다. *여기서 길게 적게 되면 위의 부분기억삭제가 또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. ex) 도메인 도메인지식 이란 ? ⇒ '어떤 전문 분야' > '분야' 도메인 = 분야 도메인(domain)이란 단어는 영토, 분야, 영역, 범위를 뜻하는 단어(예를 들어 소유지, 토지 소유권(법률) 등)였으나 인터넷 주소의 의미로 확장되었다. 어떤 전문 분야에 대해 얘기할 ..
프로세스(process)란 ? 운영체제로 부터 시스템자원을 할당 받은 작업단위 *실행중에 있는 프로그램 특징 프로세스 내부에는 최소 하나의 스레드 를 가지고 있는데, 실제로는 스레드 단위로 스케줄링을 한다. *스케줄링 : CPU가 할당 순서 및 방법을 결정하는 일. 하드디스크에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면, 실행을 위해서 메모리 할당이 이루어지고, 할당된 메모리 공간으로 바이너리 코드가 올라가게 된다. 이 순간부터프로세스라 불린다. 프로세스는 독립된 메모리를 할당 받는다. 프로세스가 메모리를 관리하기 위해 이 공간들을 어떤 구조로 관리하는데, 이를 프로세스 주소 공간이라고 부른다. 프로세스 주소 공간은 Code, Data, Stack, Heap 으로 구성된다. Code: 코드 자체를 구성하는 메모리 영역(프..
· 개-발/Git
기능설명 Merge Conflict(병합 충돌) Merge (병합) 하는 과정에서 같은 파일 수정되면 Merge conflict(병합 충돌) 이 발생합니다. 중요*당황하지 말고*중요 충돌을 파악할 수 있도록 내용을 고쳐서 충돌 내역을 보여주는데 최종적으로 반영할 내역으로 고친후 Merge Commit 하면 된다 Tracking (추적 / 연결) 서버로부터 저장소를 clone 하면 Git은 자동으로 master 브랜치를 origin/master 브랜치의 트래킹 브랜치로 만듭니다. 트래킹 브랜치를 직접 만들 수 있는데 리모트를 origin 이 아닌 다른 리모트로 할 수도 있고, 브랜치도 master 가 아닌 다른 브랜치로 추적하게 할 수 있다. Push 와 Pull 은 기본적으로 추적되고 있는 브랜치를 기준..
· 개-발/Git
깃허브를 사용하는 이유는 버전관리 !!!! 때문이죠 버전관리란 :프로젝트 업데이트 상태를 정리한것 언제 무엇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상태를 정리한것 Issue (이슈) 회사의 모든 작업 을 말한다. ex)버그, 오류, 새로운기능, 작업검토 요청 등 기능설명 Commit (올리기) project의 상태를 저장(기록)하고 조회한다.(푸시 전 임시저장) 버전관리를 하는 이유는 나 이외에도 다른 사람도 보기 때문에 누가 언제 무엇을 바꾼지 커밋메세지에 요약 해 둔다. Clone (복제) 원격repo(원격 저장소)를 내 컴퓨터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초기 다운로드 하는 기능 Pull (가져오기) 원격repo의 commit들을 로컬 repo의 commit들에 합치는것 작업 전 commit 된 파일들을 가져와서 작업 한..
해쉬 (Hash) 해쉬함수를 사용하여 색인을 버킷이나 슬롯의 배열로 계산한다. 데이터의 검색과 저장이 아주 빠르게 진행된다 여기서 헤드를 셋팅하는건 자료구조 마다 다르니 잘 기억 하도록 하자 ! 시작 ! class Dict: def __init__(self): self.items = [None] * 8 #테스트할 배열 8개를 생성함 기능 ! put() : 받은 키 벨류값을 저장 def put(self, key, value): index = hash(key) % len(self.items) #해쉬값(랜덤)키로 받은 임의의 숫자를 #배열의 최대길이로 나눈 값을 인덱스번호로 저장 self.items[index] = value #위에 생성한 인덱스 번호에 데이터값을 넣어준다 return get() : 받은 키로..
큐 (Queue) 한쪽에서 들어가면 반대쪽으로 나온다!! (First In First Out : FIFO 삐뽀ㅋ) 큐는 데이터를 넣고 뽑는걸 자주하는 자료구조이다. 스택과 유사하게 구현이 가능하다. *)스택과는 다르게 큐는 시작과 끝의노드를 전부 가지고 있어야 한다. 주문들어온 순서대로 처리 해야할 때 사용한다. ex) 웨이팅 여기서 헤드를 셋팅하는건 자료구조 마다 다르니 잘 기억 하도록 하자 ! *)스택과는 다르게 큐는 시작과 끝의노드를 전부 가지고 있어야 한다. 시작 ! class Queue: def __init__(self): self.head = None self.tail = None 기능 ! enqueue() :마지막 데이터에 새로운 데이터를 삽입한다. def enqueue(self, value..
스택 (Stack) 게임의 그 스택이 맞다 계속 쌓이는 구조이다(Last In First Out : LIFO 리뽀) ex) 컴퓨터 되돌리기 (Ctrl + z) 여기서 헤드를 셋팅하는건 자료구조 마다 다르니 잘 기억 하도록 하자 ! 시작 ! class Stack: # 스택 생성 def __init__(self): self.head = None 기능 ! push() : 맨 위에 데이터 넣기 def push(self, value): # 헤드 교체 new_head = Node(value) # 들어온 밸류를 새로운 헤드에 담기 new_head.next = self.head # 새로운 헤드의 다음 노드에 현재 헤드 옮기기 self.head = new_head # 새로운 헤드를 헤드노드로 지정 pop() : 맨 위의..
imSoo
'분류 전체보기' 카테고리의 글 목록 (21 Page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