나는 학습을 어떻게 해야 할까 또는 어떻게 하고 있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되어 이 글을 적게 되었다.
1 - 정의 혹은 검색
내가 이미 알고 있지만 더 깊게 알고싶은 개념이나 이게 맞나?(부분기억삭제ㅋ)라는 의구심을 생길때
개념에 대한 설명 혹은 정의를 그대로 적는다.
새롭게 공부해보고 싶은 개념은 책이나 공신력 있는 문서들을 참고 하여 간결한 문장으로 만든다.
*여기서 길게 적게 되면 위의 부분기억삭제가 또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.
ex) 도메인 도메인지식 이란 ? ⇒ '어떤 전문 분야' > '분야' 도메인 = 분야
도메인(domain)이란 단어는 영토, 분야, 영역, 범위를 뜻하는 단어(예를 들어 소유지, 토지 소유권(법률) 등)였으나 인터넷 주소의 의미로 확장되었다. 어떤 전문 분야에 대해 얘기할 때 해당 도메인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와 같이 말하기도 합니다.
2 - 키워드
분명 1번의 문장을 찾다 보면 모르는 단어들이 나오기도 한다. ⇒ 1 번 으로
적당히 만족 할때까지 반복한다. (너무 가면 시간낭비 + 길어지면 기억상실)
3 - 왜 ?
1번 2번에서 정의 된 단어들이
'어디서 사용되는지'
'어떻게 사용되는지'
'왜 사용되는지'
문서화
이것들을 정리하였으면 기록 하여야 한다.
기록은 언제나 다시 찾아 볼 수 있고, 설명하느라 시간을 할애 할 필요 없고,수정도 가능하다.
또 기록 하는 동안 학습을 한번 더 하는 효과도 나타나기 때문이다.
이것을 다른사람에게 알기 쉽게 설명하는것 또한 나의 성장라고 생각한다.
글을 작성하면서 또 모르는 부분을 한번 더 짚고(위 1 2 3 반복) 넘어 갈 수 있다.
'일-상 > 성장일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hub] 깃허브가 할로윈을 보내는 방법 (0) | 2024.10.31 |
---|---|
[끄적끄적] 자주쓰는 맥 OS 명령어 (2) | 2024.04.20 |
[성장일지] 토이프로젝트 세팅 사항 (0) | 2023.06.03 |
[성장일지] setter 를 지양 하는 이유 (0) | 2022.11.21 |
[성장일지] 개발자에게 도메인 ? 비즈니스 ? (0) | 2022.11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