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ocker run -d --name redis -p 6379:6379 --network redis-net redis # 볼륨 설정하기 docker run --name redis -p 6379:6379 --network redis-net -v /Users/jiyeonpark/Desktop/redisvolume -d redis:latest redis-server --appendonly yes
도커 이미지를 올릴때 network를 설정해주는데 이 네트워크의 역활은 뭘까 ?
docker network ls
브릿지(Bridge): 기본적으로 도커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모드입니다. 컨테이너는 호스트 시스템과 독립적인 IP 주소를 할당 받아 독립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집니다. 이 모드에서는 컨테이너 간에는 가상의 브릿지를 통해 통신할 수 있습니다. 브릿지 모드는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드입니다.
호스트(Host): 호스트 모드는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호스트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직접 사용하는 모드입니다. 컨테이너는 호스트와 동일한 IP 주소 및 포트 공간을 공유하므로 컨테이너 내부와 호스트 간에는 네트워크 가상화가 없습니다. 따라서 컨테이너에서 바인딩된 포트는 호스트에서도 동일한 포트로 사용됩니다.
논(None): 논 모드는 컨테이너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하지 않는 모드입니다. 컨테이너는 네트워크 기능을 사용할 수 없으며 완전히 격리되어 있습니다. 주로 로컬에서 독립 실행형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.
루트(Routed): 루트 모드는 Docker의 라우팅 기능을 사용하여 컨테이너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라우팅하는 모드입니다. 이 모드에서는 컨테이너가 호스트의 IP 주소를 직접 사용하지 않으며, 컨테이너 간에는 가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합니다. 이 모드는 네트워크 가상화를 위해 사용되는 다른 컨테이너 런타임과 통합할 때 유용합니다.
정리 :
브릿지 - 도커의 컨테이너끼리 데이터를 주고받을때 사용 - 외부 연결도 가능
[ 워커 노드 ]
호스트 - 컨테이너가 호스트의 인터페이스를 직접사용하기 때문에 외부연결시 호스트 사용
[ 마스터 노드 ]
논 - 폐쇄망
루트 - 컨테이너 간의 네트워크를 세밀하게 조정 가능
[ 로드 밸런싱 ]
'개-발 > Infr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Kafka] Zookeeper 란? (1) | 2023.06.07 |
---|---|
[Elastic] 한글형태소 분석기 (nori 설치) (2) | 2023.06.03 |
[Docker] 도커 이미지 그룹화 ( label , network ) (0) | 2023.05.29 |
[Elastic] Docker + Filebeat 설치 (0) | 2023.05.24 |
[Elastic] Docker Kibana 토큰 생성 및 설정 (2) | 2023.05.24 |